본문 바로가기
내가 느끼고 깨달은 것들

< 진로심리상담 : 무질서 무경계 >

by freeman5014 2023. 5. 23.
728x90
반응형

< 진로심리상담 : 무질서 무경계 >

 
●핵심 : 무질서가 곧 질서이다
 
■서론
질서를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합리적인 생각을 해라. 목표를 가지고 자기 이해를 하고 열심히 하면 취업을 할 수 있다. 그렇게 이야기를 함. 근데 무질서 이론에서는 관점이 다름 진로 목표가 없다. 이거는 안 좋은 것임. 진로 목표가 있는 사람은 좋은 것? 무질서이론에서는 없어도 괜찮아. 목표가 있는 사람은 이게 마음대로 안될걸?이라고 함. 
 
인생이 여러 개의 돌이 섞이다가 자리를 잡듯 인생도 사실 그러함. 무질서해보이나 결국 질서를 이룸. 조금 더 유연하게 진로를 선택하지않은 상황까지도 긍정,유연하게 바라보기. 
 
■본론
1. 진로무질서이론에 대하여
진로무질서이론이란? 기본적으로 우리가 사는 세상은 불규칙하며 질서를 찾기 힘들다는 전제에서 출발. 따라서 진로이론도 그런 세상을 반영해서 봐야 한다.
 
내담자가 진로 목표를 정확히 세워놓은 상태가 아니더라도...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는 것임. 이거는 틀리고 이게 맞다 이런 게 아님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심리적 유연성. 합리적이니까 뭐는 좋고 뭐는 나쁘다 이런거 말고 자연스럽고 혼란스러운 것도 그 나름대로 실제 존재하고 가치가 있음.
 
진로무질서이론에서 중심이 되는 키워드는 우연과 변화가 우리 삶을 특정 짓는다는 전제 위에서 혁신적 관점 고려를 제안
 
혁신적인 의사결정 과정
 
진로무질서이론에서는 변화, 여기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우연적 일들이 많이 일어난다, 그것들을 고려해야한다. 계획된 우연이론은 체계적 관점에 속함. 목표를 갖지 않은 상태는 가능성,유연성을 가지고 있는 것. 근데 되는대로 살아(게임하니라 바쁘고) 이런 사람까지 옹호해주는 것은 아님. 
 
2. 네 가지 유인
①목표 유인, Goal 
체제를 특정 지점을 향해서 움직여 가는 것을 의미하며 목표지향형으로 이해. 행동을 끌어당기는 것을 유인이라고 하고 행동을 밀어내는 것을 추동이라고함. 본질적으로는 같음. 추동을 원인, 유인을 목표라고도 함. 행동이 일어나도록 앞에서 끌어주고 뒤에서 밀어주는 것.
 
내가 엄청 배가 고파 근데 마침 맛있는 주스,빵이 있어서 먹었어 그러면 이거는 배고픔이라는 추동이 빵을 먹게 한 것임 내가 근데 배가 고픈 것이 아니어서 그냥 빵이 예뻐서 먹었어 빵을 본 순간 끌려서 먹었어(유인)
 
②진동 유인
두 개의 지점, 장소 또는 성과 사이를 규칙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
역할지향형으로 이해 할 수 있음 
 
어떤 행동을 하거나 역할을 왔다갔다함.
 
③패턴 유인(규칙 지향)
복잡하지만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움직여가는 것을 의미
가다보면 규칙이 있어. 이거를 규칙지향형이라고도함.
 
무질서한거같은데 가만히 보면 어떤 패턴을 추구함. 일부러 다른 길로 가보는 것 이런 것도 필요함!!!! 어떤 사람은 맨날 한 쪽 길로만 다님. 
 
④우연 유인
예측 불가능한 방식으로 복잡하게 움직여가지만 나름의 질서를 조직해 가기도 하는
변화지향적으로 이해 될 수 있음
 
진로무질서이론을 가지고 내담자를 상담한다면 네 가지 패턴 중에 어떤 사람이 진로와 관련되어서 행동을 하는지를 확인하면 됨 
 
3. 무경계 진로와 프로티언 커리어
전통적 패러다임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진로 변화
불확실성의 증가, 일터에서의 이동성 증가.
일터간 경계의 구분이 어려워지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적응적 주도적,
자기가 관리하는 접근이 필요
 
①무경계 진로
운동 선수가 갑자기 코메디 프로에서 MC를 봄. 옛날에는 경계가 딱 나눠졌었음 스포츠 선수들이 갑자기 예능을 하고. 군인들이 나라를 지켜야하는데 갑자기 예능을 함. 경계가 없음. 
 
옛날에는 복싱은 복싱끼리 유도는 유도끼리인데 지금은 무조건 걍 서로 누가 쎈지 붙어버리고. 옛날에는 상권에서 커피집이 근처에 있으면 따졌는데 지금은 구분 없음. 청자 근처에 메가커피 있고. 그 청자 전에도 다른 커피 집이 있었고... GS25가 있는데 CU가 대놓고 들어오고
 
옛날에는 골목 상권이 있어서 따졌는데 지금은 안 묻고 안 따지고 정면승부를 함.
 
무경계 진로에 의해 관리하는 것도 개인이 자기가 능력을 키우고 학습하고 이 세계에서 살아남아야함 그래서 투잡도 쓰리잡도 하고 그러는 것임 옛날에는 직장에 들어가면 영역을 침범하지않았는데 지금은 아님
 
②프로틴 커리어
조직보다는 개인에 의해 주도되는 경력 지향
ㅡ지속적인 학습, 전 생에에 걸친 경험, 적응을 위한 자아정체성의 변화 등으로 특정 지어지는 진로관리 행동 의미
ㅡ객관적인 성공(승진 등)보다 주관적인 성공(자부심, 만족 등) 기준 등을 중요시
ㅡ일에 두는 가치에 따라 자신이 주도적으로 움직여가는 행동 태도를 포괄적으로 지칭
 
③전통적 커리어와 프로티언 커리어의 차이
전통적
프로티언
 
인지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핵심신념(가치). 내가 추구하는 가치 내 생각대로 산다는 것은 내 핵심신념 가치를 내가 달성하면 심리적 만족을 느낌. 프로틴 커리어에서는 이거를 강조함. 전통적인 커리어는 외적인 승진을 강조함 


내가 목표를 가지고 열심히 하는 것은 좋은데 변화 가능성이 있는데 이런 상황이면 어떻게 할래 주도적으로 상황에 따라 변화에 적응하게함.
 
가치지향성 자기주도성을 프로틴커리어에서 강조함. 프로틴커리어 상담목표에는 사고의 유연성. 모든 게 변화를 하고있으니까 우리도 유연해야함
 
주관적 성공 기준 : 가치의 명료화,
긍정적인 사람은 이 자리를 좋아하면서(긍정) 다른 곳으로도 나아가려는 모습 필요
 
매체활용 : 영화. 영화를 보면 한 사람의 영화,소설,연극. 질서정연하게 흘러가지않음 무질서하게 흘러가는듯하면서도 삶을 이룸. 영화를 통해서도 한 사람의 일생을 볼 수 있음
 
1년 후에 군대를 가야하는데, 누굴 사귀게 되었어, 집의 이사 등 우연한 사건에 의해서 어떤 일이 일어날까 내 진로는 어떤 식으로 적응,변화해야할까 

현재 진로 목표 O,X
 
■결론
나의 진로도 나도 변화한다, 내가 주도적으로 진로를 개발하고 적응해나가는 것이 필요함. 진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탐색해나가는 것이 필요함


물처럼 유유자적하는 것도 필요한듯하다

반응형